관련링크
에이치엘비, 도로교통공단과 운전면허시험 차량에 HUD 설치 운영
작성자 | 아프로뷰 | 날짜 | 2017-12-26 | 조회수 | 1,302 |
---|

도로교통공단은 국립재활원, 중소기업인 에이치엘비와 함께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시 음성 코스 안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코스 안내시스템을 개발·도입해 청각장애인의 운전면허시험에 지원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.
도로에서 운전하면서 시험을 보는 도로주행시험의 경우 내비게이션만 보면서 운전하는 응시자가 많다. 특히 초보 운전자는 운전 중 시야 분산의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2012년 도로주행시험에 전자채점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시험 코스 안내를 음성으로만 실시하고 있다. 그러나 청각장애인 면허시험 응시자의 경우 이런 음성 안내를 들을 수 없어 시험 응시에 불편이 있었다.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도로주행시험 전자채점시스템을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해 방향전환지점 300m, 200m, 100m 전(前) 지점에서 시험 코스 안내를 각각 3번씩 연속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됐다.
특히 시험 중 햇빛을 정면으로 보고 운전할 때나 역광 시에도 반사되지 않도록 입체형 표지로 했고 교통표지판과 동일한 방향기호와 남은 거리 동시 표시 기능 등으로 한눈에 길 안내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했다.
또한 운전자의 다양한 운전자세, 신체적 특징을 고려해 시야각을 상·하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했으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(KICT)의 특허를 기반으로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으로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.
그 결과 지난해 서울 강서면허시험장의 경우 청각장애인 응시자 51명 중 39명이 합격(합격률 76.5%)했으며 올 들어 지난달 기준 응시자 29명 중 25명이 합격했다. 전국적으로는 매년 357명의 청각장애인이 면허시험에 합격하고 있다.
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"도로주행시험 전국 평균 합격률이 52.5%인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시스템은 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에 도움이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청각장애인과 일반인이 동등한 기회에서 공정한 시험을 치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"면서 "공단은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"이라고 말했다.
출처:디지털타임스
박상길기자 sweatsk@